+인물&장소&문화

[인물] <미열>윤은미 언니에게 묻다!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2. 15. 14:32

토요일 밤에~ 바로 그 밤에~♬ 
<미열> 세 권을 군고구마 봉투같은 서류봉투에 담아 <미열> 언니를 만났다.
<미열>의 온기처럼 따뜻한 <미열>의 편집자 윤은미 씨를 만나보자.



◆ ‘우리가 원하는 진짜 이야기’ <미열>이 나오기까지.
문) <미열> 첫 호가 발간되기까지 고열의 과정을 거치셨을 것 같은데요?
답) 구체적으로 어떤 계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에요. 다만 잡지라는 형태를 너무 좋아하다보니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물론 그때 곧바로 <미열>이라는 지금의 형태를 생각한 건 아니지만, 사람들을 만나는 경험을 쌓으면서 사람만큼 재미난 세계는 없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는 동안 직장을 다녔고 그만뒀고 사랑도 하고 이별도 했어요. 모든 것이 사막처럼 건조했어요. 도망치듯 여행을 떠났어요. 어쩌면 제 인생에 가장 큰 반항이 아닐까 하는데요. 두 달 여행간다고 갔는데 거기서 한 달 더 연장해서 세 달 여행이 됐어요. 외로움과 고독과 싸우는 여행이었지만 매 순간 선택하고 결정하면서 제 삶에 조금 자신감이 생긴 것 같아요. 여행에서 돌아오자마자 <미열> 봄호를 발간하게 되었어요.

◆ <미열>, 너는 누구냐?
문) <미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답) 제목에 대해 많이 물어보는데 딱 잘라 말하기는 좀 어렵네요. 개인마다 자신을 뜨겁게 하는 건 하나씩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 거 아닐까요. 그 하나에 대해 우리의 삶이 흔들리고 안달나하게 되는 그 미완의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어요. 미열은 그 온도에요.

문) 잡지를 만들 때에는 대개 어떤 원칙을 두잖아요? <미열>에도 그런 게 있는지요?
답) 어떤 조건들을 생각한 것이 있긴 해요. 우선 누구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 아마추어들도 쓸 수 있다는 그런 거요. 그리고 자본으로부터 독립한 잡지라는 것. 내용이든 형식이든요. 또, 내가 어디에서 살든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특정한 지역 등에 국한되지 않고 크게 보아 사람을 다루는 잡지라면 제가 어느 곳에 가든 <미열>을 만들 수 있다고 봐요. 마지막으로, 독자들의 구독료만으로 만들어지는 잡지를 하려고 해요. 아까 독립적인 잡지를 이야기했었는데, 다른 자본에 얽히지 않고 독자의 구독료로만 만들 수 있다면 순수하게 독자들을 위한 잡지를 만들 수 있는 거죠. 그게 제 개인의 이상이기도 하고요. 이런 조건들이 제가 <미열>을 만드는 원칙이라고 생각해요.





문) <미열> 첫 호에서 '인생의 결정' 파트의 <까페 두레>와 <aing studio>  두 글을 읽고,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돈을 벌고 있다는 사실이 나에게 위안을 주었어요. 그런데, 왜 편집장님 자신의 '인생의 결정' 내용은 없었는지. 아쉬웠어요. 왜 쓰지 않으셨나요?
답) 저는 편집자와 필자로 충실하고 싶었어요. 물론 저의 이야기로 첫호를 시작하는 건 이르고, 섣부르고, 경솔한 일이라고 생각했고요. 또 저의 이야기는 미열이라는 매체 자체로 말하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문) 첫 호에 어떤 내용을 담을지 고민을 많이 하셨을 것 같아요. 첫 호에 세 꼭지(인생의 결정, 연애의 보편성, 개인의 기록)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답) 어떤 자리에서도 항상 빼놓을 수 없는 이야기가 ‘연애’인 거 같아요. 처음에는 연애지를 만들까라는 생각도 있었다니까요(웃음). ‘인생의 결정’이라는 꼭지는 미리 정했던 것은 아니에요. 까페 두레와 아잉 스튜디오의 사람을 만나고 대화하고 난 후에 느낀 걸로 꼭지명(주제)을 정했어요. 그리고 ‘개인의 기록’은 꼭 다루고 싶었던 주제에요. 저는 기록의 중요성을 얘기하고 싶었거든요. 그래서 구구절절 늘어놓는 것보다 나의 기록을 보여주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개인의 기록'이라는 꼭지를 만들게 되었어요.

문) 첫 호가 나온 이후로 계절마다 발행을 하고 있으신데, 그렇게 계간지로 발간하게 된 데에 어떤 이유가 있나요?
답) 계간지인 이유는 계절의 변화가 좋아서에요. 365일 12달 24시간 이런 건 다 사람이 정한 인위적인 거잖아요. 자연스럽다는 말을 좋아하는데, 계절의 변화가 그렇게 자연스러운 거잖아요. 그래서 계절마다 발간하기로 했는데 생각보다 빨리 돌아와서 힘들어하고 있어요. 내년에는 또 어떻게 할지, 계속 계간지로 발간할지도 고민 중이에요. 봄호에는 벗꽃을 넣었고 여름호에는 밤 사진을 넣었네요. 가을에는 낙엽을 넣으려다가 미처 못했어요. 그런데 오늘 윤경씨가 가을호에 낙엽을 넣어서 가져오셨네요(웃음).

문) 계간지로 하기로 결정하시면서 가격 결정도 같이 하셨을 텐데 7,000원은 보통 이런 독립출판물들에 비해 비싼 것 같은 느낌이 있어요. 저도 읽고 싶어서 결단을 내리고 샀지만, 살 때 좀 망설여지더라구요.
답) 음… 사실 참 많이 들어왔던 질문이네요. 이렇게 해서 팔리겠냐는 말도 들었고요. 가장 저를 힘들게 했던 질문이에요. 그런데 생각해 보면, 아무래도 1인출판이니 인쇄비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에요. 사람들은 적게 찍으면 저렴한 줄 알지만 사실 인쇄는 적게 찍을수록 비싸거든요. 그렇다고 <미열>이 광고 수익으로 잡지를 저렴하게 발행할 수 있는 류의 잡지도 아니에요. 사람들은 그런 걸 잘 모르죠. 그런 상황에서 <미열>을 일반 대중잡지처럼 광고와 구독료로 발행하는 잡지와 비교당하는 자체가 힘든 일이었어요. 사람들이 얼마나 무료나, 광고와 협찬으로 만들어진 물건에 익숙해져 있는지 몸으로 느꼈어요. 지금은 3호째이니 많이 나아진 편이에요. 그런 여러가지 이유에서 7,000원으로 정했어요. 비난하지 말아주세요. (웃음)





문) 가격 문제도 미열을 힘들게 했겠지만, 잡지를 만들면서 다른 힘든 일도 많았을텐데요?
답) 아무래도 <미열> 발간비를 만드는 게 가장 힘들어요. 독립출판이나 1인 출판이 부산에 없으니 <미열>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할 때도요. 만나는 사람들 대부분이 <미열>을 자꾸 일반 대중지처럼 되길 원했어요. 또 발행비가 많이 든다고 하면, 그럼 웹진으로 만들면 되지 않느냐고 쉽게 이야기하면서 <미열>을 그 자체로 봐주지 않아요. 서울에서는 너무 많고 익숙하니 그냥 그 자체로 보거든요. 아무도 가격에 대해서나 웹진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죠. 그런 일이 자꾸 생기다보니 첫 호에는 사람 만나는 게 두려웠어요. 또 무슨 이야기를 할까 하면서. 한편으로는 그렇기 때문에 3호까지 발간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웃음)
개인적으로는 1인 출판이니 외로울 때도 많죠. 스스로도 공부를 많이 해야하는데 <미열>이 나오면 너무 좋기도 하고, 또 그 동안 편집하면서 느꼈던 고독이 터져 나와서 자꾸 베시시 놀게만 돼요. (웃음) 물론 새로 발간할 때마다 새로운 어려움이 생기겠죠. 그 지혜를 지금 모으고 있다고 생각하기로 했답니다. (웃음)

문) 어려움을 딛고 계속 발간될 <미열>의 앞으로의 모습이 궁금해요.
답) 가장 좋은 걸 만나기 전까지 여러 가지를 시도해 보고 싶어요. 사실 <미열> 자체가 저에게 실험이니까요. 또 언제까지 할지 모르지만 <미열>이 <미열>을 읽는 사람의 삶의 증인이 되면서 함께 늙어갔으면 좋겠어요. 그렇게 사람의 품에서 나와서 다시 품 속에 들어가며 손때 묻어가며 나도, 필자도 독자도 모두 즐겁게 <미열>의 발간을 기다리게 되는 잡지가 되길 바라요. 

◆ <미열>의 편집장에게 묻다.
문) 잡지를 만들 때 자신만의 편집관이 있으신가요?
답) 첫째로는 글을 써준 사람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면서, 그 글을 잘 살려주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그렇게 서로 만나고 글을 쓰고 퇴고하는 과정에서 함께 <미열>을 만들고 있다고 생각해요. 매 계절마다 새롭게 투입되는 필진도, 글을 읽는 독자도, 발행한 저도 만족할 수 있도록, 실수하지 않고 잡지가 발간되도록 하는 게 제 나름의 편집관이에요. 

문) <미열>의 여는 글이 인상적이었어요. 단어 하나하나도 그냥 고른 게 아니란 생각이 들었거든요. 감각 있는 글이라고 생각했어요. 편집자가 아닌 ‘작가’로서의 꿈을 키운 적이 있나요?
답) <미열>을 발간할 때마다 새로운 필자인 것처럼 저도 매번 글을 써요. 스스로 만든 지면이지만 그 글을 쓸 때는 저 역시 필자라는 생각으로 간절하게 써요. 어쩌면 이번이 마지막일지도 모른다는 마음가짐이요. 예전에는 꿈꿔본 적 있지만 지금은 이렇게 <미열>에 쓰면서 고통을 즐기는 게 좋아요. 혹시 모르죠. 60살에 새내기 시인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웃음)

◆ 인터뷰를 마감하며, 
문) <미열>의 발행인, 편집자말고, ‘윤은미’ 자신의 미래의 방향이 궁금해요. 실례가 아니라면 미래의 방향이나 꿈을 귀띔해 주세요?
답) 행복하게 살고 싶어요. 많이 느끼고 사랑하면서. 

문) 하고 싶은 일을 찾지 못하는 청춘들,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해야하는 일과 고민하며 좌절하는 이 시대의 청춘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
답) 방황할 수 있는 데까지 많이 방황했으면 좋겠어요. 겁부터 먹지 말구요. 그런데, 사실 저도 아직까지 방황중이에요.(웃음)

문)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인터뷰 소감이나, 바싹에 덕담 한 마디 마지막으로 부탁드려요!
답) “바싹 좋아요.” 사실 묘한 연대감도 있어요. 형태는 다르지만 함께 여기에서 무언가를 만들고 있다는 게. 개인적으로 바싹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미열>에 도움을 많이 주셔서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덧붙여서 이렇게 직접 만나서 한 인터뷰는 처음이에요. 사적인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해서 부끄럽네요. 그래도 기꺼이 <미열>과 저를 위해 시간 내준 바싹에게 감사드려요.